본문 바로가기
인포 타임

옴니보어는 “하나로 규정되지 않는 나의 취향”

by 도그주 2025. 9. 15.
반응형
트렌드 리포트 2025년 9월

옴니보어 트렌드란? 한 가지 취향에 묶이지 않는 멀티 소비 시대 해설

2025년 9월 현재, 소비 트렌드의 키워드 중 가장 주목받는 개념은 바로 ‘옴니보어(Omnivore)’입니다. 옴니보어는 특정 취향이나 카테고리에 얽매이지 않고, 상황·감정·맥락에 맞춰 자유롭게 선택하고 조합하는 소비 태도를 뜻합니다. 오늘은 옴니보어 트렌드가 왜 중요한지, 어떤 특징과 사례가 있는지, 그리고 기업과 브랜드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옴니보어 소비 트렌드 개념
옴니보어 소비 트렌드 개념 이미지

1. 옴니보어의 정의와 배경

‘옴니보어’라는 단어는 원래 ‘잡식성 동물(Omnivore)’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영어 사전적 의미로는 육식과 초식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는 동물을 뜻하지만, 최근 소비 트렌드에서는 ‘다양한 취향을 아우르는 소비자’를 지칭하는 데 쓰입니다.

과거에는 소비자가 한 가지 취향이나 브랜드 충성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무조건 명품만 입는다’, ‘나는 특정 아이돌 그룹의 팬이다’처럼 일관된 정체성이 강조되곤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사람들은 자신을 한 가지로 규정하기보다, 상황과 감정에 따라 취향을 바꾸고 섞으며 소비합니다. 이것이 바로 옴니보어 트렌드의 핵심입니다.

2. 옴니보어의 핵심 특징

  • 컨텍스트 기반 선택: 같은 사람이라도 평일과 주말, 낮과 밤, 혼자일 때와 친구와 함께일 때 선택이 달라집니다.
  • 경계 파괴: 명품과 스트리트 패션, 로컬 음식과 글로벌 음식처럼 이질적인 요소를 믹스하는 데 거부감이 없습니다.
  • 구독과 사용의 유연성: 월 정액, 단기 패스, 번들, 리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 형태를 조합합니다.
  • 개인화 조합: 음식에 토핑을 얹듯, 나만의 옵션을 추가해 경험을 완성하는 소비가 늘어납니다.
  • 지속 가능성 연결: 기후 감수성, 재사용·리셀 트렌드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옴니보어 소비자의 선택
옴니보어 소비자의 선택 이미지

3. 산업별 구체적 사례

푸드/음료

채식을 지향하면서도 가끔 고기를 즐기는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또한 배달앱에서는 ‘건강식 번들’과 ‘야식 번들’을 같은 사용자가 번갈아가며 주문하기도 합니다.

패션/뷰티

하루는 럭셔리 브랜드 가방을 들고, 다음 날은 합리적인 SPA 브랜드 옷을 입는 식의 혼합이 자연스러워졌습니다. 뷰티 시장에서도 K-뷰티 제품과 해외 명품 화장품을 상황에 맞게 번갈아 쓰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콘텐츠/엔터테인먼트

OTT에서는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숏폼 플랫폼에서는 가벼운 코미디 영상을 소비합니다. 같은 사람이지만 그때그때 다른 콘텐츠를 찾는 것이 특징입니다.

여행/호스피탈리티

스플릿 스테이(혼합 숙박)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1박은 럭셔리 호텔, 나머지 1박은 게스트하우스에 머무르며 여행 예산과 경험을 조율합니다.

리테일/커머스

대형마트 장바구니에는 유기농 채소와 초저가 PB상품이 함께 담깁니다. 상황에 따라 합리적 소비와 프리미엄 소비가 공존하는 것입니다.

 

푸드, 패션, 콘텐츠, 여행 등 다양한 산업에서 나타나는 옴니보어 현상
다양한 산업에서 나타나는 옴니보어 현상 이미지

4. 브랜드 마케팅 인사이트

옴니보어 시대에 브랜드가 취해야 할 전략은 단순합니다. ‘나만의 취향’을 조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접근이 필요합니다.

  • 조합 가능한 제품 설계: 기본 상품에 옵션을 더해 고객이 직접 경험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유연한 구독 모델: 일시정지, 변경, 단기 이용이 가능한 구독을 제공해야 합니다.
  • 경계 파괴 협업: 식품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의 콜라보처럼 새로운 맥락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 지속 가능성 강조: 리셀이나 재사용 프로그램을 통해 총소유비용(TCO)을 낮추고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는 옴니보어 소비자에게 조합형 경험
브랜드는 옴니보어 소비자에게 조합형 경험 이미지

5. 옴니보어의 미래 전망

앞으로 옴니보어 트렌드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AI 추천 알고리즘이 발전하면서 소비자의 상황과 감정까지 반영한 맞춤형 제안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MZ세대를 중심으로 ‘나답게, 하지만 다양하게’ 소비하려는 흐름이 계속 강화될 것입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고객을 단일 페르소나로 묶는 것보다, 다양한 상황 속의 ‘멀티 페르소나’를 전제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브랜드는 소비자의 선택지에서 빠르게 밀려날 수 있습니다.

6. 정리 및 결론

옴니보어는 단순한 유행어가 아니라, 현대 소비자의 본질을 설명하는 키워드입니다. 한 가지 취향이나 정체성으로 규정되지 않고, 상황과 맥락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고 조합하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브랜드는 이러한 흐름을 이해하고, 유연한 경험 설계를 통해 소비자에게 다층적인 가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옴니보어 시대의 승자는 소비자가 원하는 순간에 가장 잘 맞는 선택지를 제공하는 브랜드입니다.

 

 

반응형